1. 개관 ¶
시·도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 및 운영하는 도로. 여기서의 지방도는 도(道)에서 관리를 맡는 지방도만을 의미하며, 서울특별시에서 관리하는 도로는 서울특별시도, 광역시에서 관리하는 도로는 광역시도로 따로 부른다.
이 보다 더 하위 등급은 군 단위로 관리하는 군도가 있고, 국도나 지방도가 대체 도로가 생길 경우 격하되어 군도로 격하되는 경우도 있다. 당연히 보수나 제설면에서 지방도에도 밀려 엉망인 노면 상태를 자랑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미시령 구 도로. 미시령 터널 개통 이후 눈이 오면 무조건 통제하고 제설은 신경도 쓰지 않는 길로 변모했다.
국가로부터 도로 건설비용 지원을 받는 국가지원지방도와, 오로지 지방자치단체만의 힘으로 운영하는 일반 지방도로 분류된다. 국가지원지방도는 숫자가 국도처럼 2자리, 일반 지방도는 3자리 이상으로 되어 있으며, 도로 표지판에 표시할 때는 모두 노란색 사각형 안에 도로 번호를 표기한다.
국가지원지방도를 빼고 지방도의 경우 번호선정은 각 도별로 나눠서 한다. 경기도는 300번대, 강원도는 400번대, 충청북도는 500번대, 충청남도는 600번대, 전라북도는 700번대, 전라남도는 800번대, 경상북도는 900번대, 경상남도는 1000번대, 제주특별자치도는 1100번대이다. 1200번대 이후는 통일이 되면 봉인이 풀릴 것으로 보인다...
지방도가 국가의 손에 넘어가게 되어 국도 혹은 국가지원지방도로 승격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에서 지방도를 건설 및 유지할 힘이 부족할 경우 해당 지방도의 국도 혹은 국가지원지방도 승격을 종종 요구하기도 한다. 물론 실제로 반영되는 경우는 적다.
그 반대로 원래 국도였던 구간이 지방도로 격하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일부 지방도들을 들 수 있다.[1] 심지어 고속도로였던 구간이 지방도로 격하되는 지못미스러운 경우도 있다. 한때는 영동고속도로의 한 구간이었던 456번 지방도가 그 예.
국도와는 달리[2] 각 지방자치단체들의 사정에 따라 완공되지 못하고 끊겨 있는 구간이 많이 보이기 때문에, 각 지방도를 모두 드라이브해 보는 데 애로사항이 따른다.
2. 노선번호 ¶
일반 지방도 각 항목은 도로현황조서의 도로현황 전자책 '일반지방도 현황'에 근거하여 작성하는 것을 추천한다. 근데, 도로현황조서도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자주 있기 때문에, 전년의 도로현황조서와 비교하며 거리의 증가 감소 유무를 보며 판단해야 한다. 시·종점의 경우도 제대로 나와있지 않은 경우가 최근들어 많아졌다.
네이버 지도나 다음 지도를 보면서 작성하면 편하지만, 틀리게 나와있는 경우가 자주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네이버 지도보다는 다음 지도가 조금 더 정확하다. 하지만, 그나마 정확한 쪽은 각 시·군·구청의 행정지도를 이용하는 것이다. 근데, 행정지도는 몇년마다 한번씩 업데이트 되는 관계로 최신의 지도가 아닐 수도 있다. 따라서 지방도 항목을 정확히 서술하기 위해서는 도로현황조서 2년치, 다음 지도, 네이버 지도, 행정지도, 공사 계획서를 모두 띄워놓고 하나하나 비교분석 및 교차검증해야만 한다. 이것이 매우 힘든 관계로 리그베다 위키의 지방도 하위항목들도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국가지원지방도는 해당 항목으로.
2.1. 경기도의 지방도 ¶
- 301번 지방도
- 302번 지방도
- 305번 지방도
- 306번 지방도
- 309번 지방도
- 310번 지방도
- 311번 지방도
- 313번 지방도
- 314번 지방도
- 315번 지방도
- 317번 지방도
- 318번 지방도
- 321번 지방도
- 322번 지방도
- 325번 지방도
- 329번 지방도
- 330번 지방도
- 333번 지방도
- 334번 지방도
335번 지방도폐지
- 337번 지방도
- 338번 지방도
- 341번 지방도
- 342번 지방도
- 345번 지방도
- 349번 지방도
- 352번 지방도
- 355번 지방도
- 356번 지방도
- 357번 지방도
- 359번 지방도
- 360번 지방도
- 363번 지방도
- 364번 지방도
- 367번 지방도
- 368번 지방도
- 371번 지방도
- 372번 지방도
- 375번 지방도
- 376번 지방도
- 379번 지방도
- 383번 지방도
- 387번 지방도
- 391번 지방도
2.5. 전라북도의 지방도 ¶
- 701번 지방도
- 702번 지방도
- 703번 지방도
- 705번 지방도
- 706번 지방도
- 707번 지방도
- 708번 지방도
- 709번 지방도
- 710번 지방도
- 711번 지방도
- 712번 지방도
- 713번 지방도
- 714번 지방도
- 715번 지방도
- 716번 지방도
- 717번 지방도
- 718번 지방도
- 720번 지방도
- 721번 지방도
- 722번 지방도
- 723번 지방도
- 724번 지방도
- 725번 지방도
- 726번 지방도
- 727번 지방도
- 729번 지방도
- 730번 지방도
- 732번 지방도
- 733번 지방도
- 734번 지방도
- 735번 지방도
- 736번 지방도
- 737번 지방도
- 740번 지방도
- 741번 지방도
- 742번 지방도
- 743번 지방도
- 744번 지방도
- 745번 지방도
- 747번 지방도
- 749번 지방도
- 751번 지방도
- 792번 지방도
- 795번 지방도
- 796번 지방도
- 799번 지방도
2.6. 전라남도의 지방도 ¶
- 801번 지방도
- 803번 지방도
- 805번 지방도
- 806번 지방도
- 808번 지방도
- 811번 지방도
- 815번 지방도
- 817번 지방도
- 818번 지방도
- 819번 지방도
- 820번 지방도
- 821번 지방도
- 822번 지방도
- 825번 지방도
- 827번 지방도
- 830번 지방도
- 831번 지방도
- 835번 지방도
- 836번 지방도
- 838번 지방도
- 839번 지방도
- 840번 지방도
- 842번 지방도
- 843번 지방도
- 845번 지방도
- 851번 지방도
- 855번 지방도
- 857번 지방도
- 861번 지방도
- 863번 지방도
- 865번 지방도
- 887번 지방도
- 893번 지방도
- 895번 지방도
- 897번 지방도
- 898번 지방도
2.7. 경상북도의 지방도 ¶
- 901번 지방도
- 902번 지방도
- 903번 지방도
- 904번 지방도
- 905번 지방도
906번 지방도폐지
- 907번 지방도
- 908번 지방도
- 909번 지방도
- 910번 지방도
- 911번 지방도
- 912번 지방도
- 913번 지방도
- 914번 지방도
- 915번 지방도
- 916번 지방도
- 917번 지방도
- 918번 지방도
- 919번 지방도
- 920번 지방도
- 921번 지방도
- 922번 지방도
- 923번 지방도
- 924번 지방도
- 925번 지방도
- 927번 지방도
- 928번 지방도
- 929번 지방도
- 930번 지방도
- 931번 지방도
- 933번 지방도
- 935번 지방도
- 945번 지방도
- 997번 지방도
2.8. 경상남도의 지방도 ¶
- 1001번 지방도
- 1002번 지방도
- 1003번 지방도
- 1004번 지방도
- 1005번 지방도
- 1006번 지방도
- 1007번 지방도
- 1008번 지방도
- 1009번 지방도
- 1010번 지방도
- 1011번 지방도
- 1013번 지방도
- 1014번 지방도
- 1016번 지방도
- 1018번 지방도
- 1020번 지방도
- 1021번 지방도
- 1022번 지방도
- 1023번 지방도
- 1024번 지방도
- 1026번 지방도
- 1028번 지방도
- 1029번 지방도
- 1030번 지방도
- 1034번 지방도
- 1036번 지방도
- 1037번 지방도
- 1040번 지방도
- 1041번 지방도
- 1042번 지방도
1045번 지방도폐지
- 1047번 지방도
- 1049번 지방도
- 1051번 지방도
- 1077번 지방도
- 1080번 지방도
- 1084번 지방도
- 1089번 지방도
- 1099번 지방도